반응형

 

 

 

 정보처리기사 2017년도 1회차 시험에 응시했습니다.

 2016년도 마지막 시험부터 정보처리기사 실기가 보기 없는 단답형 주관식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난이도가 올라갔는데요,

전에는 40개의 보기가 있었지만 이제 아예 보기조차 없어서 '아 이거 알았는데 뭐였더라?' 하면 틀릴 수 밖에 없어졌습니다. ㅠㅠ 

 정보처리기사 상세 정보 :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320

 

● 기사 시험 응시 자격

일반적으로 기사 시험 응시 자격은 대표적으로

1. 관련학과 대학졸업예정자 (4학년 1학기 이상 등록)

2. 관련학과 대학졸업자

3. 산업기사 등급 이상 자격 취득 후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에 1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4. 관련학과 106학점 이상을 인정받은 자

등이 있습니다.

 

● 필기

 필기는 1과목 데이터베이스,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 3과목 운영체제,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5과목 데이터 통신으로 총 5과목을 시험봐서

각 과목 40점 이상, 5과목 평균 60점 이상 받아야 합격 할 수 있습니다.

 

 저는 공부할 때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SUMMARY를 사서 혼자 자습했는데, 설명이 부족하긴 하지만 뒷편에 기출문제도 수록되어 있고, 필기는 난이도가 어렵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요약집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분들이 필기에서는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를 가장 어렵다 생각한다고 합니다.

 

● 실기

 실기는 1과목 실무 알고리즘 응용, 2과목 데이터베이스 실무 응용, 3과목 업무 프로세스 실무 응용, 4과목  IT 신기술 동향 및 시스템 관리, 전산 영어입니다. 배점은 과목당 25점인데, 4과목 다 합쳐서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실기는 요약집이 아닌 책을 사서 공부했습니다. 설명이 훨씬 요약집 보다는 자세하더군요.

 

실기 문제 유형

1과목 알고리즘 : 순서도가 나왔습니다. 어렵진 않았고 교재의 알고리즘 파트 앞부분만 봐도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가 나왔습니다.

2과 데이터베이스 : SQL문을 작성하는 문제가 나왔습니다. 저는 알고리즘보다 어려웠어요...

3과목, 4과목 업무 프로세스, 신기술 동향 및 전산 영어 :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이 주어지는데 무슨 용어인지 단어나 약어를 써야 했습니다. 분명히 알았던 용어인데 갑자기 생각이 안나기도 하고, 헷갈리기도 했습니다.

 

 실기가 주관식으로 바뀌기 전에는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의 배점이 높고 어려워서 1, 2 과목에 집중해서 공부하라는 글이 많았는데요, 실기가 바뀌고 나서 제 개인적으로는 배점도 각 25점으로 동일해졌고 주관식으로 바뀌어서 정답이 대부분 영어 약자거나 영어 단어3과목, 4과목이 1,2 과목보다 어려웠습니다. 용어가 생각이 안나면 답란에 아예 손을 댈 수가 없거든요...

 

 

 

 

 60점 간당간당 할 것 같았는데 다행히 한번에 합격했습니다.

 

 

 

 

 합격하고 자격증 신청을 하면 생각보다 상당히 얇은 국가기술자격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권처럼 생겼길래 수첩같은 건 줄 알았는데 마우스패드 같아요ㅎㅎ 대실망~!~!

 

 

 

 

 

 

 

 

 

 

 

 

반응형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피킹시험] 토스 vs 오픽 특징 비교  (0) 2017.08.29
하이퍼텍스트와 속성  (0) 2017.08.09
HTML 소개, 기본 문법  (0) 2017.08.07
자바란? + 이클립스 설치  (0) 2017.07.29
프로그래밍이란?  (0) 2017.06.27

+ Recent posts